Copyright © 1999 W3C
(MIT,
INRIA,
Keio), All Rights Reserved. W3C
liability,
trademark,
document
use and
software
licensing rules apply.
이 문서는 W3C의 "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.0"의 부록이다. 이 문서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.0에 나온 모든 체크포인트의 목록을 개념별로 정리해 놓았으므로 웹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체크리스트로 쓸 수 있을 것이다. 관련된 기본 정보나 관련 문서들에 대한 정보, 용어 등을 보려면 위에 나온 지침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.
이 목록들은 웹 페이지나 사이트의 접근성을 점검해보는 데에 사용될 것이다. 각각의 체크포인트에 대해서는 그것이 만족하는지, 또는 만족하지 못 하는지, 또는 적용 불가능한지 나타낼 수 있다.
체크포인트를 목록 형식으로 나타낸 것도 있다.
이 문서는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. WAI 웹 콘텐츠 (제작) 지침 워킹 그룹의 목표는 워킹 그룹의 헌장에 나와있다.
이 문서는 W3C 회원과 다른 관계자의 검토를 거쳐 W3C 총재가 W3C 권고안으로 승인한 문서에 대한 부록이다. 이 문서는 안정화된 문서이므로 참고 자료로 쓰이거나 규범적인 참고 문헌으로 다른 문서에서 인용할 수 있을 것이다. W3C가 권고안을 만드는 것은 정확한 사양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고, 보다 넓은 범위에서 그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이다. 이렇게 함으로써 웹의 기능성과 보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.
W3C의 권고안 문서 목록이나 다른 기술적인 문서들은 http://www.w3.org/TR에서 찾아볼 수 있다.
이 문서는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. 웹 콘텐츠 지침에 관한 워킹 그룹 (Web Content Guidelines Working Group)의 목적은 이 그룹의 헌장 부분에 나와 있다.
이 문서에 대한 의견이나 건의 내용은wai-wcag-editor@w3.org에게 보내달라.
각 점검 사항에는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워킹 그룹이 부여한 중요도를 표시해 두었다.
어떤 항목들은 명시된 조건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진다.
일반적인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---|---|---|---|
1.1 모든 비-텍스트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한다. (예를 들어 "alt", "longdesc" 등을 쓰거나 또는 요소 내의 콘텐츠에 직접 쓴다.) 이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: 이미지, (기호를 포함하여) 그래픽으로 나타낸 텍스트, 이미지 맵의 어떤 영역, 애니메이션(예: 애니메이션 GIF), 애플릿, 프로그램 객체, 아스키 아트 (역자 주: 라틴 글자와 기호를 여러 개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대형 그림을 표현한 것), 프레임, 스크립트, 리스트 불릿으로 쓰인 이미지(역자 주: 목록을 나열할 때 목록 앞에 쓰인 점, 동그라미 등과 같은 이미지),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쓰인 빈 이미지(spacers), 그래픽 버튼, (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연주되는) 사운드, 독립적인 오디오 파일, 비디오의 오디오 트랙, 비디오. | |||
2.1 색깔과 함께 전달되는 모든 정보는 색깔이 없더라도 맥락이나 다른 마크업에 의해 구별 가능해야 한다. | |||
4.1 문서의 텍스트나 대체 텍스트(text equivalent)(예를 들면, 오디오나 비디오 내용물에 붙인 캡션)의 언어(역자 주: 예를 들어 일본어에서 중국어로 바뀐다든가 하는 것)가 바뀌면 정확히 명시해주어야 한다. | |||
6.1 스타일 시트가 없더라도 읽을 수 있게 문서를 구조화한다. 예를 들면, HTML 문서가 스타일 시트가 없이 표시되더라도 반드시 그 문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. | |||
6.2 동적인 콘텐츠가 변할 경우 거기에 딸린 대응 요소(대체물, equivalents)도 좇아서 변하도록 한다. | |||
7.1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들에게 깜박임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전까지는 화면에 깜박임을 넣지 않는다. | |||
14.1 사이트의 콘텐츠에 적합한 가장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하라. | |||
이미지와 이미지 맵을 사용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.2 서버측 이미지 맵을 사용할 때에는 그림의 각 활성화 영역마다 중복적인 텍스트 링크를 제공해준다. | |||
9.1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정의가 안 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버측 이미지 맵 대신에 반드시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사용한다. | |||
표를 사용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5.1 데이터가 들어있는 표에는 제목열과 제목행(통칭하여 header)을 명시한다. | |||
5.2 두 개 이상의 논리적인 제목행이나 제목열을 갖는 데이터가 들어있는 표에서는 데이터 칸끼리 또는 제목 칸끼리 관련 짓는 마크업을 사용한다. | |||
프레임을 사용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2.1 프레임을 구분하고 프레임간의 탐색을 쉽게 하기 위해서 모든 프레임에는 제목(이름)을 붙여야 한다. | |||
애플릿과 스크립트를 사용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6.3 스크립트나 애플릿,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객체를 사용하지 않거나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페이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그것이 불가능하다면, 대안적으로 접근 가능한 페이지에 그것들을 대체할만한 정보를 제공하라. | |||
멀티미디어를 사용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.3 시각적인 트랙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읽어주는 웹 표시 장치가 널리 보급되기 전에는,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에 시각적인 트랙의 중요한 정보에 대해서는 음성 설명을 제공해주도록 한다. | |||
1.4 시간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(예를 들면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)과 그에 상응하는 대체물(예를 들면 시각적인 트랙에 대한 캡션(텍스트 자막)이나 음성 설명)은 동기시켜야 한다. | |||
다른 모든 조치가 불가능한 경우 (중요도 1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1.4 만약 모든 노력을 해보았어도, 접근성이 높은 페이지를 만들 수 없다면, W3C의 기술을 사용하고, 접근 가능하며, 원래의 페이지와 동일한(equivalent) 정보(또는 기능)를 담고 있으며, 원래 페이지만큼 자주 업데이트되는 별도의 대안적인 페이지를 제공하라. |
일반적인 경우 (중요도 2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---|---|---|---|
2.2 전경색과 배경색의 조합이 색맹이나 색약이 있는 사람에게, 또는 흑백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는 사람들이 보았을 때에 충분한 대비를 갖도록 해야 한다. [이미지 색깔의 경우 중요도 2, 텍스트 색깔의 경우 중요도 3]. | |||
3.1 적절한 마크업 언어가 있을 때에는 정보 전달을 위해 이미지를 쓰지 말고 마크업을 쓴다. | |||
3.2 공식 문법에 맞도록 문서를 작성하라. | |||
3.3 내용물의 자리 배치와 표현 방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라. | |||
3.4 마크업 언어의 속성값이나 스타일 시트의 속성값에는 절대 단위를 쓰지 말고 상대 단위를 사용한다. | |||
3.5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제목 요소(header elements)를 사용하되, 사양에 맞게 사용한다. | |||
3.6 목록(list)과 목록 아이템을 적절히 사용한다. | |||
3.7 인용 마크업을 사용한다. 들여쓰기와 같은 단순한 시각적 형식을 조절하기 위해 인용 마크업을 사용하지 말라. | |||
6.5 동적인 콘텐츠가 접근 가능한지 확인하고, 그렇지 않으면, 대안적인 제시를 하거나 대안적인 페이지를 제공한다. | |||
7.2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들에게 깜박임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전까지는 화면에 깜박임을 넣지 않는다. | |||
7.4 웹 표시 장치가 (자동) 갱신을 멈추거나 무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전에는, 정기적으로 자동 갱신되는 페이지를 만들지 않는다. | |||
7.5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자동 페이지 전환(auto-redirect)을 멈추거나 무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전까지는, 페이지 자동 전환용 마크업을 사용하지 않는다. 대신에,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서버를 설정한다. | |||
10.1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새로운 자식 창(팝업 창)이 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전까지는 팝업 창이나 새로운 창이 생기게 하지 말고, 사용자에게 사전에 알려주지 않은 채로 현재 창이 아닌 창을 활성화 해서도 안 된다. | |||
11.1 하고자 하는 일에 적합한 W3C 기술이 있다면 되도록이면 최신판을 찾아 채택한다. | |||
11.2 낡은 W3C 기술(deprecated features of W3C technologies : 예전 기법)을 사용하지 말라. | |||
12.3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정보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적절하게, 더 쉽게 다룰 수 있는 몇 개의 모둠으로 나눈다. | |||
13.1 각 링크의 목표 위치(target)를 명확히 한다. | |||
13.2 각 페이지와 사이트에는 메타데이터(metadata)를 제공함으로써 의미있는/의미론적(semantic) 정보를 부여한다. | |||
13.3 사이트의 전체적 구성에 관한 정보(예를 들면, 사이트 지도나 목차 같은 것들)를 제공하라. | |||
13.4 일관적인 탐색 방법을 사용한다. | |||
표를 사용한 경우 (중요도 2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5.3 표 내용을 펼쳐서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에 의미가 없는 경우에 단지 내용물의 자리 배치만을 위해 표를 사용하지 말아라. 내용물을 배치하려는 목적으로 표를 쓴다면, 대안적인 대체 정보(표를 풀어서 순서대로 나열한 것 - linearized version - 등)를 제공한다. | |||
5.4 만약 자리 배치를 위해 표를 사용한다면, 시각적인 형식을 맞추기 위해 구조 표시용 마크업을 사용하지 말아라. | |||
프레임을 사용한 경우 (중요도 2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2.2 프레임 이름만으로 명백하지 않을 때에는 프레임의 목적을 설명하고, 프레임들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을 붙인다. | |||
폼을 사용한 경우 (중요도 2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0.2 웹 표시 장치가 레이블(label)과 폼(form) 컨트롤사이의 명시적으로 지정한 연관을 명료한 방법으로 인식 가능하게 해 줄 때까지는 (왜냐하면 모든 폼 컨트롤은 레이블과 정확히 짝지어진 것이 아니므로), 레이블을 적절한 (폼 컨트롤과의 연관에 혼동의 여지가 없는) 위치에 놓아야 한다. | |||
12.4 컨트롤과 그 컨트롤의 레이블을 명확히 짝지어야 한다. | |||
애플릿과 스크립트를 사용할 경우 (중요도 2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6.4 스크립트나 애플릿을 쓸 때에는 이벤트 처리 루틴가 입력 장치에 독립적이어야 한다. | |||
7.3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들에게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전까지는 페이지에 움직임을 넣지 않는다. | |||
8.1 스크립트나 애플릿과 같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요소는 (장애인을 위한) 보조 기술을 이용해서 직접적으로 접근 가능하거나 또는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을 유지해야 한다. [기능이 중요하고 다른 곳에서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중요도 1, 그렇지 않으면 중요도 2.] | |||
9.2 자체 인터페이스를 가진 요소의 경우, 장치 독립적인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. | |||
9.3 스크립트를 사용할 때에는 특정 장치에 종속적인 이벤트 처리 루틴보다는 논리적인 이벤트 처리 루틴를 사용한다. |
일반적인 경우 (중요도 3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---|---|---|---|
4.2 약자(abbreviation)나 두문자어(acronym)가 문서에서 처음 나올 때에는 본디말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. | |||
4.3 문서의 주 사용 언어를 지정해준다. | |||
9.4 링크, 폼 컨트롤, 객체들을 따라 논리적인 탭 순서를 만들어 놓는다. | |||
9.5 중요한 링크 (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에 들어있는 링크 포함), 폼 컨트롤, 폼 컨트롤 묶음에는 키보드로 접근 가능한 단축키를 제공한다. | |||
10.5 (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술들을 포함한)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인접한 링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해주기 전까지는, 바로 인접한 링크들 사이에는 링크가 걸리지 않고 인쇄 가능한 (양쪽 공백으로 둘러싸인) 문자를 삽입해주어야 한다. | |||
11.3 사용자들이 자신의 선호에 따라 문서를 받아볼 수 있도록 예를 들면, 언어, 콘텐츠 유형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. | |||
13.5 사이트 탐색 기능의 존재를 잘 드러내고, 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탐색 막대(navigation bars)를 제공하라. | |||
13.6 관련된 링크들은 한데 묶어 주고, 웸 표시 장치가 그 모둠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. 그리고,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들에게 그런 기능을 제공하기 전까지는 모둠을 건너 뛸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해 주어야 한다. | |||
13.7 검색 기능을 제공할 때에는 사용자의 수준과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. | |||
13.8 장, 절 등의 제목(headings), 문단, 목록 등의 선두에는 이들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정보를 넣는다. | |||
13.9 문서 묶음(예를 들어, 여러 페이지로 이뤄진 문서)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 | |||
13.10 여러 줄로 이루어진 문자 그림(ASCII art)을 건너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. | |||
14.2 문자로 된 내용에는 페이지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면 그래픽 혹은 청각적 보조 내용물을 더해 준다. | |||
14.3 여러 페이지에 걸쳐 일관성 있게 쓸 표현 방법 스타일을 개발하여라. | |||
이미지나 이미지 맵을 사용한 경우 (중요도 3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.5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에 있는 링크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찾아 표시해 주는 웹 표시 장치가 널리 보급되기 전까지는 각 활성 영역에 대해 중복적인 텍스트 링크를 제공해야 한다. | |||
표를 사용한 경우 (중요도 3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5.5 표의 요약 정보를 제공하라. | |||
5.6 표의 제목줄이나 제목열(헤더 부분)에 들어가는 내용에는 약자를 제공하라. | |||
10.3 웹 표시 장치(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술을 포함하여)가 나란히 놓인 두 단 이상의 텍스트를 웹 페이지 저자가 의도한 순서대로 표시/해석(render) 하기 전까지는 텍스트의 다단 배치를 위해 쓴 모든 표에 대해서 (현재 페이지나 별도의 페이지에) 순차적인 대체 텍스트를 제공한다. | |||
폼을 사용한 경우 (증요도 3) | 예 | 아니오 | 적용 불가 |
10.4 웹 표시 장치가 사용자에게 빈 컨트롤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전까지는 편집 상자(edit boxes)와 텍스트 영역(text area)에 기본값이 되는 문자를 넣어준다. |